이방인 - 알베르 카뮈



"오늘 엄마가 죽었다. 아니 어쩌면 어제"

 주인공인 뫼르소는 가난하고 소박한 삶 속에서 솔직하며 특별히 말을 많이 하길 좋아하지 않는 그런 인물이다. 어머니의 죽음을 슬퍼하지 않았으나 죽지 않았으면 좋았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그러한 생각은 이미 사회의 관습이나 통념에서는 이해될 수 없는 행동양식으로, 이후에 뫼르소가 살인자로 재판을 받게 되기 시작하면서부터 별 문제가 되지 않던 모든 자신의 행동이 살인자임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장치가 된다.


 처음 이 소설을 읽을때는 온통 이해가 되지 않는 행위들 뿐이었다. 부모의 죽음에 슬퍼하지 않는 것과, 장례식 다음날 어떤 여자와 아무렇지도 않게 데이트를 하는 그런 행위적인 부분에만 초점을 맞추고 읽었는데 이미 나라는 사람 자체가 이 소설안에서 표현하는 사회, 관습, 대상에 대한 외적인 모습등에 대해 일반적이라고 말하는(다수가 말하는)것이 진리인것처럼 이미 내면에 정착해있었던 것이 아닐까 싶다. 그러면서 소설을 읽는 것 자체에 대해 굉장히 지엽적으로 다가가고 재미를 못 느꼈는데, 이번에 다시 읽으면서 새롭게 다가왔다.


 뫼르소가 얼떨결에 살인을 저지르게 되고 재판을 받는 장면은 꽤 신선했다. 거의 대부분의 재판이 직접적인 살인에 대한 증거나 당시의 정황보다는 어머니의 사망에 슬퍼하지 않았다는 점, 장례식 다음 날 여자와의 데이트를 했다는 점, 심지어 장례식에 밀크커피나 담배를 태웠다는것들이 재판에서 뫼르소가 사형을 받아야 하는 논리적인 이유(장치) 역할을 한다. 그렇게 사형당할 위기에 놓여도 뫼르소는 단 한 번도 자신의 감정에 대해 거짓말을 하지 않으며 그것은 사회가 걸어 놓은 일종의 장치들 때문에 사형 선고를 받는다. 

 많은 부분에서 뫼르소는 이방인이 되어있었다. 재판의 일정 시점부터는 그가 앉아있을 뿐, 더이상 재판에 참가하지 못하게 된다. 


 실제 작품 해설에 맞게 읽는 것을 떠나서, 이방인에서 나오는 주인공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주변에도 흔히 발견할 수 있다. 그걸 다름으로써 인정하지 않고 잘못된거라고 말하고 다녔던 과거가 생각나서 조금 부끄럽기도 했다. 대상의 배경을 떠나서라도 대상을 판단할 자격이 내게 있을까? 소설에서는 재판이지만 우리는 살면서 개개인이 마음속으로 타인을 재판하고 있다. 나는 과연 그 대상들의 무엇을 보고 그들을 판단하며 죄인으로 만들어왔을까? 생각이 많아졌다.